본문 바로가기

BFS3

[BFS] 백준 2178번 https://www.acmicpc.net/problem/2178문제N×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101111101010101011111011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 (1, 1)에서 출발하여 (N, M)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N, M)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조건)첫째 줄에 두 정수 N, M(2 ≤ N, M ≤ 1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 각각의 수.. 2024. 11. 19.
[BFS + DFS] 백준 1260번 문제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문제분석DFS와 BFS를 차례대로 구현하면 된다.주의할점은 정점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므로, 인접 인덱스를 정렬을 해서 방문할 순서를 정해야.. 2024. 11. 18.
[BFS] 너비 우선 탐색 너비우선탐색(BFS) 이란?그래프를 완전탐색하는 방법 중 하나로,시작 노드에서 시작해 가장 가까운 노드를 먼저 탐색하면서 탐색하는 알고리즘FIFO 구조로 탐색을 하며, 목표 노드에 도착하는 경로가 여러개 일 경우 최단경로를 보장한다.시간복잡도 O(노드 수 + 에지 수)로 이루어져 있다. 너비우선탐색의 핵심이론DFS와 마찬가지로 방문한 노드의 경우 체크하는 배열이 필요.또한, 인접 리스트를 구현하여 에지로 구성되어있는 배열을 구현해야함DFS와 다른점이 있다면, 스택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닌 큐의 형태로 먼저 들어온 순서부터 제거하며 삽입 및 삭제를 진행.과정첫번째 노드부터 큐에 삽입하여, 큐를 시작하고 인접해 있는 노드를 차례대로 큐에 삽입한다큐에 먼저 들어간 노드부터 삭제하며, 인접한 노드들이 있다면 차례.. 2024.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