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ent - server 구현 (3)알아야 할 것들Threadmutexchrono ( server 통신 timer로서 사용) Thread 기본 이론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여러일을 병렬처럼 사용하고자 사용자원 공유 ( Heap 영역 / 전역변수 / 주소공간 / [시그널/ 파일] 핸들러 등등)자원을 공유하기에 같은 곳 동시에 접근하지 않도록 적절한 관리가 필요비동기처리를 할 때에 주로 사용됨 MutexThread에서 자원을 공유하는 부분에 동시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이번 예제에서는 출력하는 부분이 일정한 처리가 되지 않아 제대로 출력되지 않는 것에 있어서 mutex를 사용너무 큰 범위의 mutex, 또는 너무 작은 범위의 mutex 사용은 관리의 힘듬을 야기할 수 있음mutex, semaphore,..
client - server 구현 (1)알아야할 것들ioctlsocket() : 비동기처리getsockopt() : 소켓 확인select() : 이벤트 처리 부분동기적 처리가 일어나는 부분 ioctlsocket() 함수소켓핸들에 명령을 주어 설정을 하는 함수명령어 목록FIONBIO : 소켓의 동기화/비동기화를 설정FIONREAD : 소켓의 읽을 수 있는 데이터 양 검색SIOCATMARK : 소켓의 urgent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 확인SIO_KEEPALIVE_VALS : TCP keep-alive 시간 설정을 변경SIO_GET_EXTENSION_FUNCTION_POINTER : 확장 함수 포인터를 가져옴 (*사용자 명령 사용 가능) getsockopt() 함수소켓의 상태 확인 (연결 중/ 연결 종료/ ..
client - server 구현 (1)알아가기전 알아야할 것들동기적 처리가 일어나는 부분 socket library ( ex _ winsock2 )client - server 구현 동기적 처리가 일어나는 부분CLIENTconnect() 과정 : server와 통신연결을 위해 응답이 올때까지 기다린다.send() 과정 : 서버에서 해당 메시지가 제대로 보내는지 확인 과정을 기다린다.recv() 과정 : 서버에서 송신한 데이터가 오는 것을 기다리고, 데이터의 결과를 확인한다.SERVERaccept() 과정 : client와의 연결을 위해 새로운 socket을 생성할 때까지를 기다린다.Listen() 과정까지는 client연결을 기다리는 중이고, accept단계에서 연결작업이 진행된다send() 과정 : 데..
- Total
- Today
- Yesterday
- 티스토리챌린지
- 버블정렬
- 우선순위 큐
- 코딩테스트
- SQL
- JSON
- bean
- 알고리즘
- HTML5
- 클래스
- stack
- DFS
- 이진탐색
- 타입변환
- BFS
- 게시판 프로젝트
- 검증
- Spring
- 깊이우선탐색
- 포트폴리오
- Thymeleaf
- JDBC
- 예외처리
- 기술면접
- 게시판
- 백준
- 정렬
- db
- 오블완
- Jav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